연예인 수신료의 가치 甲.jpg [465]

페이지 정보

작성자 댓글 0건 조회 161회 작성일 22-01-07 20:17

본문


롯데 자이언츠 박세웅 스카우팅 리포트 (2022) (블로그 : https://blog.naver.com/hanguk9/222565474918)

롯데 자이언츠 외국인 타자 DJ 피터스 간단 분석 (블로그 : https://blog.naver.com/hanguk9/222586400048)

롯데 자이언츠 외국인 투수 글렌 스파크먼 간단 분석 (블로그 : https://blog.naver.com/hanguk9/222593510922)

롯데 자이언츠 외국인 투수 찰리 반스 간단 분석 (블로그 : https://blog.naver.com/hanguk9/222603654156)


1.png 롯데 자이언츠 김진욱 스카우팅 리포트 (2022)

롯데 자이언츠 김진욱 스카우팅 리포트 (2022)


김진욱 통산 기록


롯데 자이언츠 김진욱 스카우팅 리포트 (2022)


김진욱 통산 세부 지표



롯데 자이언츠 김진욱 스카우팅 리포트 (2022)


인기남 김진욱을 보러 온 롯데 관계자들


고교 시절부터 한 살 위의 3학년 소형준을 제치고 2학년 때 최동원 상을 수상할 만큼 초특급 유망주로 재능을 인정받고 2021 신인 드래프트 2차 1라운드 1순위로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하며 2021시즌 신인왕 후보로 거론되었던 김진욱이었지만 기대에 비해 부진한 활약으로 아쉬운 한 해를 보냈다.


그래도 도쿄 올림픽 야구 국가대표로 뽑힐 정도로 롯데 투수들 중 가장 기대되는 선수다.


내년에는 발전한 모습으로 팬들의 기대에 부응할지 분석을 통해 다음 시즌 성적을 예상해 보자.


롯데 자이언츠 김진욱 스카우팅 리포트 (2022)


김진욱의 구종 가치, 평균 구속, 구사율


롯데 자이언츠 김진욱 스카우팅 리포트 (2022)


김진욱의 직구


롯데 자이언츠 김진욱 스카우팅 리포트 (2022)


김진욱의 커브


롯데 자이언츠 김진욱 스카우팅 리포트 (2022)


김진욱의 슬라이더


최고 150km/h의 빠른 공과 낙차 큰 커브, 슬라이더 역시 날카로운 각을 선보이며 9이닝 당 탈삼진 개수가 8.87개를 기록할 정도로 좋은 공을 던질 줄 아는 선수이다.


땅볼/뜬공 비율 역시 1.31로 1년 차부터 변화, 구위 모두 프로에서도 수준급이라는 것을 증명했다. 특히 올해 초 선수의 몸 상태를 체크할 때 2300대의 분당 회전수를 기록한 김진욱의 직구가 가장 강력한 결정구다.


특이한 점은 직구 투구 후에 왼발이 완전히 3루 쪽으로 향했는데 변화구 투구 후에는 왼발이 1루 쪽을 향했다.


지금까지의 설명대로라면 이렇게 좋은 공을 던지는 선수가 왜 구종 가치는 양수가 아니며 왜 6점대의 방어율을 기록했는지 납득이 안될 것이다. 올해 김진욱은 앞서 나열한 강점들을 모두 상쇄하는 최악의 제구력을 보여줬다.


롯데 자이언츠 김진욱 스카우팅 리포트 (2022)


2021시즌 25이닝 이상 소화 기준 9이닝 당 볼넷, 볼넷 비율, 이닝 당 투구 수 상위권


볼넷 비율이 무려 21%에 달하며 경쟁자들과 약 4% 차이가 날 정도로 심각했다. 특히 9이닝 당 볼넷 개수는 9.66개로 압도적으로 (뒤에서..) 1등을 차지했다. 2016년 김유영의 7.86개를 뛰어넘어 팀 기록까지 갱신하는 불명예를 떠안았다.


제구가 되지 않아 볼넷 개수가 늘어나고 자연스레 투구 수도 늘어나면서 이닝 당 투구 수 역시 (뒤에서...) 1등을 차지했다.


제구가 흔들리면서 변화구 구사보다는 직구 위주의 승부를 하였다. 직구 65%, 슬라이더 25%의 구사율로 투피치에 가깝다.


롯데 자이언츠 김진욱 스카우팅 리포트 (2022)


구속을 얻고 제구를 잃은 진욱 공주... 진지한 글에서도 드립이라니..


고교 시절 김진욱의 강점 중 하나는 제구력이었다. 152.2이닝 동안 4사구는 46개밖에 되지 않았는데 왜 갑자기 프로에 와서 제구가 망가진 것일까?


프로 입단 후 고교 때보다 구속이 증가하였지만 밸런스가 흔들리면서 제구가 무너졌다. 일각에서는 무리하게 팔각도를 올리다가 밸런스가 무너진 것이라고 한다.


롯데 자이언츠 김진욱 스카우팅 리포트 (2022)


롯데 자이언츠 김진욱 스카우팅 리포트 (2022)


드립도 아닙니다


롯데 자이언츠 김진욱 스카우팅 리포트 (2022)


2020년 황금사자기 김진욱 투구 폼 (좌), 2021년 7월 김진욱 투구 폼 (우)


롯데 자이언츠 김진욱 스카우팅 리포트 (2022)


김진욱의 고교 2학년, 3학년 때의 볼넷 관련 기록


하지만 이미 고3 때 투구 폼을 바꾼 것으로 보이며 그 여파로 고2 때에 비해 사구와 9이닝 당 볼넷 개수가 급증하며 제구가 흔들리는 모습을 이미 보였다.


이번 시즌 2군 경기 등판 기록도 10이닝 동안 단 1개의 4사구만 허용하였던 것으로 보아 팔 각도 문제보다는 구속 증가의 부작용과 1군 등판의 부담감의 심리적인 문제가 김진욱의 제구를 무너트린 것 같다.


롯데 자이언츠 김진욱 스카우팅 리포트 (2022)


롯데 자이언츠 김진욱 스카우팅 리포트 (2022)


제구가 무너진 상황에서도 김진욱은 직구 하나만으로도 가능성을 보여줬다. 밸런스만 되찾고 제구가 안정된다면 제대로 사용하지 못했던 변화구도 활용하여 향후 롯데의 마운드를 책임질 투수로 거듭날 것이다.


롯데 자이언츠 김진욱 스카우팅 리포트 (2022)


김진욱의 투구폼


롯데 자이언츠 김진욱 스카우팅 리포트 (2022)


고교 시절 김진욱 등판, 이닝, 투구 수 기록


박정진과 김광현이 떠오르게 하는 역동적인 오버핸드폼으로 좋은 디셉션과 높은 타점에서 던지는 직구가 김진욱의 최대 무기다.


하지만 극단적인 투구폼일수록 부상을 조심해야 한다. 특히 김진욱은 3학년 관리를 받았으나 고교 시절 40경기 152.2이닝을 소화하였다.


고교 시절과 올해 프로에서도 선발 등판 시 타순이 한 바퀴 돌거나 70~80개 투구 시 구속이 떨어지고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면서 아직 완전한 선발 투수로 자리 잡기에는 체력이 부족해 보인다.


이번 시즌 불펜에서는 3.29의 평균자책점으로 선발에 비하면 굉장히 좋은 모습이었다.


직구 구위도 훌륭하기 때문에 불펜에서 던지면서 자신감과 경험을 쌓고 선발 준비를 하는 게 팀 전력에도 더 도움이 될 것 같다.


총평

롯데 자이언츠 김진욱 스카우팅 리포트 (2022)


김진욱의 20-80 스케일


22.png 롯데 자이언츠 김진욱 스카우팅 리포트 (2022)

(블로그 : https://blog.naver.com/hanguk9/22260147885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94,038건 33277 페이지
커뮤니티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58694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325 22:35
30480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196 22:34
25501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187 22:33
58309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244 22:32
62652 연예인
쿠로
1294 22:22
20883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357 22:21
93366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420 22:20
51882 연예인
쿠로
840 22:19
40095 연예인
쿠로
333 22:18
70739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788 22:17
93487 연예인
쿠로
625 22:16
62109 연예인
쿠로
378 22:15
47472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1197 22:14
78958 연예인
푸히헤헤햏ㅎ
918 22:12
53368 연예인
고기먹는스님
648 22:12
게시물 검색